728x90
반응형

2022/11/18 3

이직이 하고 싶을때

안녕하세요. 회사를 다니다 보면, 갑자기 이직이 하고 싶어질때가 분명히 있습니다. 회사사람들과 술마시면서 하는 이야기 중 간혹 듣는 이야기는 '내 가슴속에 사직서를 넣어두고, 언제든.. 언제든.. 당당히 꺼낼것이다!!' 이렇게 가슴속에 사직서를 들고 다니는것으로 회사생활에 대한 불만과 스트레스들을 인내할 수 있는 원동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M세대 중 중간쯤 되는데, IT를 해서 그런지 사직서를 가슴에 품고 다니지는 않아 마음은 이해되지만 굳이 그렇게 해야되는지 살짝 의문이 듭니다. 이직을 하고 싶다는 마음만 가지는 것으로는 이직하는것은 불가능합니다. 행동을 취해야 되요. 저는 가슴속에 사직서를 들고 다니는 대신, 주말마다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경력기술서 작성을 꾸준히 작성하는 것이죠. 회사생활에..

개발자 경력기술서 작성 노하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개발자 경력기술서 작성 노하우를 작성해보려합니다. 경력기술서란 단어 그대로 본인의 경력사항에 대해 작성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요. 다른회사에 이직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저는 지금까지 이직을 2번 해봤습니다. 현재 다니는 회사가 세번째인데요. 제가 작성할 때 주로 고민했던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주로 고민한 것은 세가지 입니다. 1. 내가 지원하는 회사의 비즈니스는 무엇인가? 2. 해당 비즈니스에서 필요로한 업무는 무엇인가? 3. 내가 작성할 경력기술서에는 해당 회사에 필요로한 기술스펙인가? 첫 번째, 내가 지원하는 회사의 비즈니스를 파악하는것은 본인에게도 가장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그 회사에 가면 저의 경력 히스토리에 포함되는 것이기 때문이죠...

개발자 경력 8년차가 되고서

안녕하세요. 웹개발자로 살아온지 정확히 7년이 되었습니다. 사회생활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신입일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시간이 이렇게 흘러버렸네요. 신입일 때,일이 몰려서 야근을 밥먹듯이 자주한 것과 일정관리의 실수로 인해 야근을 자주한 것과 그 때 당시에는 스트레스였던 하루하루가 지금의 내가 보았을때 저에게 개발자로서 뼈와 살이 되는 뜻깊은 경험이었음을 새삼 깨닫게 되네요. 저의 경력을 간략히 설명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 Spring FrameWork 시스템 유지보수 [2015년~2021년] -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개발자로 참여 [2019년, 2021년~진행중] - 오라클 DB 튜닝 진행 [2015년~2021년] - Uipath RPA 프로젝트 PM [2019년] - 자동화 툴 ..

728x90
반응형